사업단 추진 체계
본 사업단은 5개의 대학, 전라북도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
149명의 교원을 확보 약 10,000명의 인재 양성
149명의 교원을 확보 약 10,000명의 인재 양성
교육과정 개발 운영
- 각 참여대학의 반도체 소부장 관련 강점만을 융합하여 소재, 부품・장비, 패키징・테스트의 전공/비전공자 모두를 아우르는 특화 트랙을 구성, 반도체 소부장 관련 혁신 인력 육성 및 진로 유도.
- 반도체 소부장 핵심 역량 및 실무 역량 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과정 개발.
- 산업체, 학생 요구분석서를 분석, 반영하여 전공/비전공자를 아우르는 실무 실습중심의 교과목 개발
교육과정의 질 제고
- 첨단분야 149명의 교원을 확보 105개 참여기업을 통해 지속적인 신규 PBL, WE-Meet의 첨단분야 주제 선정
- 외부 전문가가 포함되어 있는 사업관리위원회를 통해 교육내용을 점검
- 기존 컨텐츠 재구조화 및 활용, 교육 인프라 개선 및 신규 구축 진행
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주기적인 교육과정 평가
구분 | 내용 |
---|---|
평가위원회 |
|
분야별 인재양성 협의체 |
|
교육과정심의위원회 |
|
자원 공동활용 및 지역 산업 연계
- 융합대학 통합플랫폼-LMS을 통해 각 대학별로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 공유 시스템 구축 및 운영
- 전라북도 종합계획 2040 계획에 따라 추진중인 새만금 반도체 특화단지와 융합되는 취업 선순환 고리 모델 진행 및 취업 장려
- 전라북도에서 산업 특화 지역 인재 양성
대학 내 제도 개선학사제도 개선
- 컨소시엄 대학간 장벽을 허물기 위해 각 대학별로 진행되는 학사제도의 개선 및 응용
- 참여 인력 모두가 평등한 학사 관리 수행, 이를 위한 융합대학 통합플랫폼-LMS 시스템 구축
- 혁신융합대학 운영을 위해 유연학기제 진행
제도 개선 방향
하가제도 명 | 컨소시엄 대학 현황 |
---|---|
유연학기제 |
|
융합전공제 |
|
집중학기제 |
|
마이크로전공제 |
|
학접교류제 |
|
공동학위제 |
|
인재양성 및 관리